🟧최근 BMO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거의 3분의 2(63%)가 향후 12개월 동안 경기 침체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고,
19%만이 올해 경제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수많은 모기지 갱신이 2025년에도 처음 모기지를 받을 때 보다,
더 높은 금리로 갱신되고 있습니다.
최근 일련의 금리 인하 덕분에 그 위협이 다소 완화되기는 했지만,
많은 주택 소유자들은 이전 보다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2025년에 금리가 상당히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구매자는 이로 인해서 모기지 비용이 감소하고 원하는 주택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희망하는 반면,
판매자는 주택가격이 높아질 것으로 희망하고 있습니다.
정말 각자 다른 기대로 새해를 맞이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금리인하가 실제로 착륙하는 지점과 관련해서는,
기대와 현실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설령 변동금리가 생각만큼 내려간다고 해도,
캐나다 채권 수익률에 연동되는 고정금리는,
미국의 강력한 경제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다가올 1월 29일의 금리 발표를 기다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겠습니다.
모두 눈치를 보고 있는 거죠, 보다 명확한 신호를 확인할때까지 말입니다.
무엇보다 건강한 한 주 되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토론토부동산 #모기지 #금리인하 #모기지갱신 #주택가격 #채권수익률
반응형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첫째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2025년 캐나다 부동산에서 가장 위험한 이슈. (0) | 2025.02.04 |
---|---|
[1월 셋째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캐나다 부동산 가격은 2029년까지 최고점을 회복하지 못할 것이다: BMO (0) | 2025.01.20 |
[1월 둘째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주택가격도 렌트비도 하락, 하지만 고정금리는 상승. (2) | 2025.01.13 |
[1월 첫째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TD은행의 낙관적인 전망 하지만 현실은 불안으로 가득. (3) | 2025.01.06 |
[12월 마지막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_주요 은행들의 2025년 금리 전망, 평균 2.5%까지 인하 예상. (0) | 2024.12.31 |